리만 가설 — 정교한 소수 탐지기의 심장부“모든 비(非)자명한 영점은 𝜎 = ½ 위에 존재한다.”— 베른하르트 리만, 1859년1. 개요정의 복소수 $s=\sigma+it$ 에 대해 리만 제타 함수 $\zeta(s)$ 의 비자명한 영점 (trivial zeros : −2,−4,…을 제외한 모든 영점)이 임계선 $\sigma=\tfrac12$ 위에 놓인다는 주장이다. (en.wikipedia.org)위상 클레이 수학연구소의 밀레니엄 문제(상금 100만 달러) 중 하나이며, 증명이 완성되면 수학·암호·통계·물리 등 광범위한 분야의 이론이 정밀해진다.2. 리만 제타 함수 맛보기$$\zeta(s)=\sum_{n=1}^{\infty}\frac1{n^s}\quad(\Re(s)>1)$$아날리틱 확장을 통해 $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