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Statistics Lab

Projects

IP(지식재산권)의 금전적 가치를 정량화-예측하는 AI 기반 가치평가 모델

AIStat 2025. 5. 24. 22:54

다음 절차는 “거래 목적”으로 특허·상표·저작권 등 IP(지식재산권)의 금전적 가치를 정량화-예측하는 AI 기반 가치평가 모델을 처음 설계‧구축‧운용할 때 필요한 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한 청사진입니다.
(예시는 특허·상표 위주로 설명하지만, 저작권·영업비밀에도 동일한 프레임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1️⃣ 목표·출력 정의

항목 설명

평가 대상 특허(단일·포트폴리오), 상표, 저작권, 복합 IP 번들
거래 시나리오 • 일시 양도/매각 • 라이선스(고정∙로열티) • 담보(담보대출·수권)
출력 포맷 (a) 범위 ±신뢰구간을 갖는 FMV(Fair Market Value) 추정치 (b) 거래유형별 권장 로열티율/가격 밴드 (c) 설명가능성 지표(기여도 TOP-K feature)
업데이트 주기 최소 분기 1회 데이터 보강·재학습 → 배포

2️⃣ 학습 데이터 확보·정합화

데이터 축 주요 소스(예시) 비고

거래 실사례 ktMINE, RoyaltyStat, Ocean Tomo, 인용된 SEC 라이선스 계약, USPTO/한국특허청 양도·보증 기록 가격·로열티·계약 기간·주체
기술·법적 메타 특허공보, INPADOC, 법원 판결·소송DB (Lex Machina, DART 判例) 잔여 존속기간, 패밀리 크기, 인용·被인용, 소송 위험
시장·재무 산업별 TAM 성장률(Statista 등), 상표 인지도(Google Trends·SNS), 제품 매출, 기업 재무 상표·저작권 수익 추정
보조 변수 유지연차료 납부 이력, 국가별 GDP 디플레이터, 할인율 곡선 시계열 정규화

※ 공개되지 않은 거래(Private Deal)는 전통적 평가식(DCF·Market) 으로 레이블을 생성한 후 준지도 학습에 편입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엔지니어링

  1. 엔티티 정합화 – 출원인·기업·브랜드명을 Knowledge Graph로 통합(예: Neo4j).
  2. 텍스트 전처리 – PatentBERT·SciBERT 임베딩, 상표 로고는 CLIP으로 이미지-텍스트 벡터화.
  3. 그래프 피처 – 특허 인용 네트워크의 PageRank, k-core, 기술 거리.
  4. 재무 파생 변수 – 예상 현금흐름(CF), 위험프리미엄, 잔여수명 가중치.
  5. 시간 창 분할 – 트랜잭션 시점 t₀ 기준 𝛥t 이내 정보만 학습에 사용하여 정보 누수 방지.

4️⃣ 모델 설계

층 입력 주 구조

1. 구조화(Structured) 수치·범주형 피처 Gradient Boosting(TreeNet, CatBoost) + TabTransformer(딥러닝)
2. 텍스트 특허 요약·청구항, 계약 조항 PatentBERT → 768-D 임베딩
3. 그래프 인용·피인용 네트워크 GNN(GraphSAGE/GAT)
4. 멀티모달 Fusion 위 세 흐름 결합 MLP + Attention / 혹은 mT5 Encoder
5. 다중‧퀀타일 출력 (μ, σ) 회귀 & 0.1/0.5/0.9 퀀타일 손실: Pinball + MAE

멀티태스크 보조

  • Task 1: 거래가격 회귀
  • Task 2: 라이선스 성공 확률 분류
  • Task 3: 향후 5년 내 소송 가능성 예측

공동 학습으로 표현력을 높이고 불확실도 추정(σ)을 추출합니다.


5️⃣ 학습·검증 전략

  1. 시간대별 K-Fold — 예: 2015-2019 훈련 → 2020 검증 → 2021 테스트.
  2. 평가지표 — MAPE·MAE·R², Top-10% VS Bot-10% 스프레드, 퀀타일 캘리브레이션.
  3. 설명가능성 — SHAP, Permutation Importance 제공(IVSC·WIPO “검증가능성” 요구 대응).
  4. 하이퍼파라 동적 탐색 — Optuna + 조기종료.
  5. 모델·데이터 버전 관리 — DVC & MLflow.

6️⃣ 전통적 평가 프레임과 결합

전통 방법 AI 모델 출력 연계

소득(Income) 접근 모델 예측 CF와 할인율 반영해 DCF를 자동 산출(스프레드시트 API) (WIPO)
시장(Market) 접근 KNN 기반 ‘유사 거래 벤치마크’ 리스트 + 가격 보정
비용(Cost) 접근 R&D 투입비용 모델링 후 최소 가치 하한 제시

AI 추정값을 “가이드 밴드” 로 삼고, 감정평가사가 케이스별 조정 계수를 입력하면 최종 FMV Range와 의견서가 생성되도록 워크플로를 설계합니다.


7️⃣ 배포·운용

  1. API 서비스화 — FastAPI + ONNX Runtime; P-Quantum(딜 흐름 관리 SaaS)에 연동.
  2. 주기적 Drift 모니터링 — 데이터 분포(KS-Test), 예측/실제 ΔMAPE 경보.
  3. Online-Learning 옵션 — LightGBM dynamic training or Continual BERT fine-tune.
  4. 규제·컴플라이언스 — IVSC “Valuation for Financial Reporting”·ISO 10668(브랜드 가치)·국가 특허법 준수.
  5. 권한·라이선스 — 상업 DB(ktMINE 등)는 서브스크립션 계약서에 API 사용·서버 위치·캐싱 제한 조항이 있는지 확인 필요.

8️⃣ 기술 스택 요약

  • 데이터레이크: PostgreSQL + S3 (원천)을 Lakehouse (Delta Lake)로 통합
  • ETL: Airflow / Dagster · Spark NLP
  • 모델링: PyTorch Lightning + DGL(GNN) + CatBoost
  • 서빙: FastAPI → Docker → K8s; 온프레미스 또는 ISO 27001 클라우드
  • MLOps: MLflow, Evidently, Grafana, Prometheus

9️⃣ 리스크·한계 및 개선 팁

과제 대응

거래 데이터 희소성·편향 • 준지도(POE, Pseudo-Label) • 시뮬레이션 DCF 합성 • Active Learning로 고가치 케이스 수작업 라벨링
블랙박스 규제 모델 요약보고서 + 로컬 SHAP PDF 자동 첨부
법적 분쟁 위험 모델에 Litigation Risk Score 포함해 할인 적용 (Avon River Ventures)
기술 도메인 편차 산업별 전문 서브모델(Healthcare, Mobility, FinTech 등) ↔ Mixture-of-Experts 라우팅
패밀리·국가별 제도 차이 지역 더미 변수 + 현지 할인율 매핑 테이블 (OECD 가이드라인 반영) (OECD, OECD)

📌 정리

  1. 거래 실거래 + 기술·시장·법적 빅데이터를 통합해 멀티모달, 멀티태스크 AI 를 학습한다.
  2. 예측치는 전통적 평가(수익·시장·비용) 모듈과 Explainable AI 로 검증·보정한다.
  3. MLOps + 컴플라이언스 체계를 갖춰야 금융·회계 보고서에 신뢰성 있게 활용할 수 있다.
  4. 드리프트 모니터링과 주기적 리라벨링으로 실거래 지표에 연동되는 ‘살아있는 모델’로 유지해야 한다.

이 로드맵을 따라가면, IP 자산의 공정가치를 AI로 빠르고 일관되게 산정하여 라이선스·매각·담보 등 다양한 거래 의사결정에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